그 놀라운 이야기들...

살아 숨쉬는 코드들을 만들어 봅니다. 조심하세요. 날아갈 수도 있으니...

삶이 어떻게 더... 완벽해~
반응형

배열 2

[C언어:초급-012] 배열과 포인터

우리는 앞에서 배열을 배웠었다. 포인터도 배웠다. 오늘은 배열과 포인터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. 조금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다. 그렇더라도 한 번 읽고 지나가면 다음에 진행될 문자열 조작 부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다. 1. 배열변수는 포인터다. 모든 곳에서 정확한 표현은 아니지만 C에서 만큼은 맞는 말이다. 아래와 같은 경우 int (4바이트) 크기의 메모리를 5개, 즉 20바이트 만큼의 메모리를 확보해 4바이트 단위로 숫자를 채운 것이다. int score[5] = {10, 20, 30, 40, 50}; 여기서 배열변수 score는 자기가 확보한 메모리의 시작점을 담고있는 포인터인 것이다. 그러므로 배열변수 int score[] 는 int* score 와 같은 의미인 것이다. 다음의 예..

[C언어:초급-009] 배열

1. 배열이란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변수 공간 여러개를 확보해 하나의 변수로 지정하고 각각의 공간은 인덱스(번호)로 지정해 읽거나 쓸수 있도록하는 구조이다.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 최대로 지정할 수 있는 인덱스의 숫자는 공간 갯수 - 1 이다. 인덱스 최대치를 벗어나는 인덱스를 지정하여 읽거나 쓰게 될 경우 오류가 발생하거나 프로그램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. 배열의 정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. []가 늘어 날수록 차수가 늘어나며 복잡해 진다. 그러나 보통은 2차원 이상은 사용할 일이 없다고 보면 된다. 타입 배열변수[갯수][갯수]…; // 배열 선언하는 법 // 인덱스는 0 ~ (갯수-1) 까지의 범위이다. 배열변수[인덱스] = 값; // 배열에 값을 저장하는 법. 일반변수 = 배열변수[인덱스]; // ..